#%EC%9E%90%EA%B8%B0%EA%B3%84%EB%B0%9C

2025-09-13

AI로 습관을 바꿔보니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 의지력을 넘어선 스마트한 변화

AI를 활용해 좋은 습관을 만들고 유지하는 실용적인 방법들을 소개합니다. ChatGPT, Notion AI 등 구체적인 도구 활용법과 실제 성공 사례를 통해 의지력을 넘어선 스마트한 습관 형성 전략을 제시합니다.

aisparkup.com/posts/4880

라떼군 이야기mrlatte_story
2025-07-02

성장은 회사의 의무이자 직원의 권리?!

여기어때는 온라인 교육, 외부 교육, 도서 구매, 사외 강사 특강 등 직원 성장 제도를 운영, 개인 역량은 물론 조직 발전과 회사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복지가 아닌 지속 성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이며, 투자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명확히 보여주고 개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직원의 성장이 곧 회사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를 명확한 성과 지표로 입증해야만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techblog.gccompany.co.kr/%EC%9

라떼군 이야기mrlatte_story
2025-07-01

진정한 자유, 인정 욕구 버리기에서 시작된다

모로토미 요시히코의 '인정 욕구 버리기'는 현대인의 80%가 과도한 인정 욕구에 시달리며 타인의 시선에 갇혀 산다고 지적합니다.

이 책은 주변의 눈치를 살피며 스스로를 갉아먹는 삶에서 벗어나, 자기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타인의 인정을 얻는 것이 목적이 아닌, 자신의 행복을 위한 수단임을 깨닫고 '수동적 요구자'에서 벗어나 내면의 공허함을 직면하며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여정을 안내합니다.

image/jpeg
2025-01-11

병가상사 : 주식시장의 영원한 진리

병가상사 이해하기 표현 이미지

병가상사(兵家常事)의 의미와 유래

  • 병가상사(兵家常事)는 “군사에 관한 일은 늘 있는 일이다”라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입니다
  • 이 성어는 전쟁이나 군사적 충돌이 인류 역사에서 반복되는 현상임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병가(兵家)’는 ‘군사 관련 분야’를, ‘상사(常事)’는 ‘일상적인 일’ 또는 ‘흔히 있는 일’을 의미합니다

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중국 춘추전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당시 각 제후국들 간의 끊임없는 전쟁과 군사적 갈등 속에서, 전쟁이 일상화된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진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 특히 손자(孫子)의 ‘손자병법(孫子兵法)’과 같은 고전 군사 전략서에서 이와 유사한 개념들이 자주 등장하며, 전쟁의 불가피성과 그에 대한 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역사적 맥락에서의 병가상사

고대 중국에서의 의미

  • 춘추전국시대부터 중국 역사에서 전쟁은 매우 빈번했습니다
  • 이 시기에 ‘병가상사’라는 개념이 등장한 것은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현실을 반영한 것입니다
  • 각 제후국들은 생존과 확장을 위해 끊임없이 전쟁을 준비하고 실행했으며, 이는 일상적인 국가 운영의 일부로 간주되었습니다

동아시아 역사에서의 적용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들도 이 개념을 수용하여 자국의 역사와 군사 전략에 적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려 시대의 윤관 장군이 여진족을 상대로 한 북방 정벌이나, 조선 시대 이순신 장군의 왜군 격퇴 등은 ‘병가상사’의 개념이 실제 역사에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현대적 해석과 적용

국제 관계에서의 의미

  • 현대 사회에서 ‘병가상사’는 단순히 군사적 충돌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 국제 관계에서의 긴장, 경제적 제재, 정보전 등 다양한 형태의 ‘전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었습니다
  • 예를 들어, 미-중 무역 갈등, 사이버 공격, 국제 테러리즘 등은 현대적 맥락에서의 ‘병가상사’로 볼 수 있습니다

기업 경영에서의 적용

비즈니스 세계에서도 ‘병가상사’의 개념은 유용하게 적용됩니다. 기업 간 경쟁,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한 전략, 기술 혁신 경쟁 등은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전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전쟁’에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일상적인 경영 활동의 일부로 간주됩니다

병가상사의 철학적 의미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

  • ‘병가상사’는 인간 사회의 본질적인 경쟁과 갈등의 특성을 반영합니다
  • 이는 인간의 본성이 근본적으로 경쟁적이며, 이러한 경쟁이 때로는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철학적 관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이는 홉스의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개념과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평화를 위한 준비의 역설

  • 역설적이게도, ‘병가상사’는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이는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Si vis pacem, para bellum)’라는 로마의 격언과도 일맥상통합니다
  • 즉, 충분한 방어 능력과 억지력을 갖추는 것이 오히려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에서의 병가상사 적용 사례

병가상사 적용 사례

국제 안보 분야

  • 현대 국제 사회에서 ‘병가상사’의 개념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 각국은 자국의 안보를 위해 군사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이는 일상적인 국가 운영의 일부로 여겨집니다
  • 예를 들어, 북한의 핵 개발에 대응하는 한국과 미국의 군사 훈련, 남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분쟁 등은 현대적 맥락에서의 ‘병가상사’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경제 분야

  • 글로벌 경제에서도 ‘병가상사’의 개념은 적용됩니다
  • 무역 전쟁, 기술 패권 경쟁, 환율 전쟁 등은 현대의 ‘경제 전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미국과 중국 간의 지속적인 무역 갈등, 반도체 기술 경쟁 등은 경제 분야에서의 ‘병가상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기술 분야

기술 혁신과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서 ‘병가상사’는 기술 경쟁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AI, 5G, 우주 개발 등의 첨단 기술 분야에서 각국과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이는 현대적 의미의 ‘전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병가상사의 긍정적 해석과 적용

준비성의 중요성

  • ‘병가 상사’는 단순히 전쟁이나 갈등의 불가피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 이는 개인의 삶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직장에서의 경쟁, 학업에서의 도전 등에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위기 관리 능력의 개발

  • ‘병가상사’의 개념은 위기 관리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예상치 못한 상황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줍니다
  • 이는 개인, 기업, 국가 모두에게 적용되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병가상사와 평화의 관계

평화를 위한 노력의 중요성

  • ‘병가 상사’가 갈등의 일상성을 강조하지만, 동시에 이는 평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역설적으로 보여줍니다
  • 갈등이 일상적이기 때문에 오히려 평화를 위한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 국제 외교, 갈등 중재, 평화 협정 등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상호 이해와 협력의 중요성

  • ‘병가 상사’의 개념은 갈등의 일상성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상호 이해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갈등이 불가피하다면, 이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 국제 협력, 문화 교류, 경제 협력 등은 이러한 노력의 예시입니다

결론 : 병가상사의 현대적 의의

  • ‘병가상사(兵家常事)’는 고대의 지혜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개념입니다
  • 이는 단순히 군사적 갈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는 경쟁과 갈등, 그리고 이에 대한 준비의 중요성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 현대 사회에서 ‘병가 상사’는 국제 관계, 경제, 기술, 개인의 삶 등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이는 우리에게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위기 관리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는 교훈을 줍니다
  • 동시에 갈등의 일상성을 인정하면서도 평화를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결국 ‘병가 상사’는 우리에게 현실을 직시하고, 그에 대비하며, 동시에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지혜는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 기업, 국가가 성공적으로 생존하고 발전하는 데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의 병가상사

병가상사와 주식시장

병가상사(兵家常事)의 개념을 주식투자에 적용하면 매우 유용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고전적 지혜를 현대 금융시장의 맥락에서 해석하고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시장의 변동성 인식

  • 병가 상사의 관점에서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일상적인 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시장의 등락은 예외적인 사건이 아니라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 투자자는 이러한 변동성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이에 대비해야 합니다

2. 지속적인 준비와 학습

  • 전쟁에 대비하듯, 투자자는 항상 시장 변화에 대비해야 합니다
  • 이는 지속적인 학습, 시장 분석, 새로운 투자 전략 개발 등을 포함합니다
  • 경제 지표, 기업 실적, 산업 동향 등을 꾸준히 연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 병가 상사는 위험에 대한 인식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주식투자에서도 포트폴리오 다각화, 손절매 전략, 헤징 기법 등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기회의 포착

전쟁에서 기회를 포착하듯, 주식시장의 변동성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시장의 과도한 반응이나 단기적 충격으로 인한 가격 하락은 장기 투자자에게 좋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병가상사의 실제 투자 전략 적용

병가상사의 실제 투자 전략 적용

1.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주요 경제 지표, 기업 실적,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뉴스 알림, 차트 분석 도구, 실시간 시세 확인 등을 활용합니다

2. 시나리오 플래닝

  • 다양한 시장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미리 준비합니다
  • 각 시나리오에 따른 대응 전략을 사전에 수립합니다

3.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 정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점검하고 필요시 리밸런싱합니다
  •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자산 배분 비율을 조정합니다

4. 위기를 기회로

  • 시장 하락기를 장기적 관점에서의 매수 기회로 활용합니다
  • 단, 무분별한 ‘바겟팅’이 아닌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5. 지속적인 학습과 적응

  • 새로운 투자 기법, 시장 트렌드, 기술적 혁신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학습합니다
  • 자신의 투자 전략을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합니다

병가상사 관점에서의 투자 마인드셋

투자 마인드셋

1. 감정적 중립성 유지

전쟁에서 냉철함이 필요하듯, 주식투자에서도 감정을 배제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낙관이나 비관을 경계하고,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해야 합니다

2. 장기적 관점 유지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적인 투자 목표에 집중합니다. 병가 상사의 관점에서 개별 전투의 승패보다는 전쟁의 전체적인 흐름을 보는 것과 유사합니다

3. 유연성과 적응력

시장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능력을 키웁니다. 고정된 전략에 집착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병가 상사의 개념을 주식투자에 적용하면, 시장의 변동성을 일상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준비와 대응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라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기회를 포착하라는 의미입니다

투자자로서 우리는 항상 시장의 변화에 대비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며, 새로운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 동시에 감정적 중립성을 유지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변동성이 큰 주식시장에서 생존하고 번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병가 상사의 지혜를 현대 주식투자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체계적이고 준비된 투자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수익을 늘리는 것을 넘어, 시장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행동하는 지혜로운 투자자로 성장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

요약 및 결론

병가 상사(兵家常事)의 개념을 주식투자에 적용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시장 변동성 인식: 주식시장의 등락을 일상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입니다
  2. 지속적 준비와 학습: 시장 변화에 대비하여 끊임없이 학습하고 분석합니다
  3. 리스크 관리: 포트폴리오 다각화, 손절매 등을 통해 위험을 관리합니다
  4. 기회 포착: 시장 변동을 새로운 투자 기회로 활용합니다
  5. 실제 전략 적용
  •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시나리오 플래닝
  • 정기적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 위기를 기회로 활용
  • 지속적인 학습과 전략 개선
  • 투자 마인드셋
    • 감정적 중립성 유지
    • 장기적 관점 유지
    • 유연성과 적응력 강화

이러한 접근법은 변동성 큰 주식시장에서 생존하고 번영하는 데 도움이 되며, 더 체계적이고 준비된 투자자가 되는 길을 제시합니다

변화로 이익을 얻는 방법 투자의 숨겨진 멘토

#동기부여 #병가상사 #병가상사교훈 #병가상사사례 #병가상사현대적적용 #병가상사유래 #병가상사의미 #고사성어 #자기계발 #좋은글귀

close up photo of a wooden chessboard병가상사 이해하기 표현 이미지
개복치 :__commie:🌺🎗️mola@uri.life
2024-10-30

>저속노화식단이 무슨 문제냐. 그게 사람들 사이에서 '윤리와 도덕'이 되어 '규범'으로 승화해 정상/비정상 범주를 만들고 무례한 추임새를 야기하니 문제지. 예를 들어, 누가 췌장암 걸렸다고 하면 '걱정, 위로, 격려'을 먼저 해야 하는데 "평소 탄수화물 많이 먹더라"는 따위의 반응을 드러내는 것.
>누가 80 넘은 부모가 치매에 걸려, 힘들어한다고 하면 역시나 '위로'하고 그 다음 '사회적 안전망' 이야기를 하든가 해야 하는데 "젊었을 때부터 관리하지 않은 결과"라고 분석하면서 "나는 그래서 콜라 안 마셔" 따위의 이야기를 감추지 않는 것.
>그리고 이 모든 문제에 '계급'을 투입하면 아주 선명하게 '비례해서' 결과가 나눠진다는 것이 슬픈 거고.
>누가 신장결석 생겼다고 하면 "어이고, 그거 정말 아픈데"가 당연한 반응이어야 하는데, "평소 짜게 먹었냐?" 이딴 추임새를 하고 있다면 그건 '건강 강박'이 야기한 괴기한 개인들의 모습인 거지.
x.com/och7896/status/185141821
#저속노화 #건강 #정치 #계급 #윤리 #정상
#자기계발 도 비슷한 경향으로 보여서 자꾸...

개복치 :__commie:🌺🎗️mola@uri.life
2024-09-26

>좌우 모두 여혐하니까 여성에게는 정치성향이 중요하지 않다는 트윗과 정작 딥페이크 법안 발의에 이름을 올려놓지는 않고서 법안을 관철시키겠다는 의원의(참고로 우리 지역구임 ^^;;) 문자를 공개한 트윗과 국힘 여성 의원 한 명을 올려쳐주면서 4선까지 하길 바란다는 트윗까지. 징후적인 장면들.
>정치에 늘 고관여할 필요는 없지만 정치에 정말로 관심 안 가지고 '좌우 다 여혐하니까 신경 안 쓴다'는 식으로 나오는 사람들은 대체로 극우행 열차를 타는 경향이 있다.
>이게 우연은 아님. 저번에 자기계발 플로우가 왜 나쁘냐고 궁금해하는 걸 언뜻 본 것 같은데 극우정치가 제일 좋아하는게 각자도생의 논리니까. 주식이랑 코인해서 한탕 땡긴 다음에 소위 '탈조'하면 그만인 사람들한테 공동체가 어딨고 연대정신이 어딨냐.
#딥페이크 #우파 #정치 #각자도생 #자기계발
x.com/coolboy955/status/183925

2024-02-19
2024-02-05

#페3R 월광관고등학교 천재카리스마사나이의 #자기계발 비법을 알려주자면 하루만에 타르타로스 한계까지 민 다음 메인스 진행될때까지 자기계발에 올인. 하는 것이다.

개복치 :__commie:🌺🎗️mola@uri.life
2023-12-02

twitter.com/Ecalap_se/status/1
> 한마디로, 자기계발론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우리의 주변에 존재하는 사회문제로부터 회피하게 한다는 점에서 문제라 할 것이다.
#자기계발

구름조각(Cloudy)contentscloud@netsphere.one
2023-11-29

🧐#자기계발 콘텐츠에서 가장 이해 안되는 점

성공한 사람의 습관이나 루틴을
따라하는 것이 제일 이해 안 돼…

흔히 성공했다는 사람들의 영역은 다양해.

운동선수, 경영자, 예능인, 강사, 개발자, 사업가 등 그들은 자기 영역에서 성과를 냈기 때문에 성공한 사람이라고 존경 받지.

그 성과를 내기 위해 무수한 반복을 했겠지만
그저 반복하기 위해 습관이나 루틴을 만든게 아닐거야.

목표가 있고
그 목표를 달성할 방법을 찾았고
그 방법을 여러번 시도하는 과정에서 습관이 생겼겠지?

그런데 성공하기 위한
목표와 방법을 찾는 과정을 건너뛰고
성공한 사람의 습관을 맹목적으로 따라하는 것은
너무 게으른 방법론이라는 생각이 들어!

우리 모두 각자 인생의 목적이 있고
만족스러운 인생의 기준이 다를거야😊

그 과정에서 동기 부여도 다를 것이고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도 다를 것이며
문제를 해결할 때 접근하는 방법도 다를 거야.

남의 습관을 따라하지 말고
자신의 방식대로 #성공하면 좋겠어!

2023-11-13

애나 아카나 - 자신의 빌런 시기 (Villain era)를 받아들이세요 (번역)

youtube.com/watch?v=wuUBbTHoJc

#자기계발

Client Info

Server: https://mastodon.social
Version: 2025.07
Repository: https://github.com/cyevgeniy/lm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