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B2%A0%ED%95%99

2024-12-24
유리🏴🌱🍕 :heart_nb: :heart_trans:DemigirlA@planet.moe
2024-09-09

#고전 #불교 #유교 #철학

이미 아는 사람이 꽤 될 것 같지만 한국의 불교 고전 문헌 아카이브와 철학 고전 문헌 아카이브 페이지가 있어서 요새 종종 보고 있어요

한국어를 아는 사람이라면 굳이 한반도의 전근대인이 남긴 문헌을 돈 주고 사보지 않아도 된다는 것 (번역된 문헌 한정)

kabc.dongguk.edu/content/view?

db.itkc.or.kr/dir/item?itemId=

독륜(dúlún)dulunsche@mustard.blog
2024-02-23

"의례들을 맨 처음 창시하고(...) '성사'(聖事)를 선택한 이들은 다름 아닌 신들이다. /.../ 플로티노스가 인간 영혼은 언제나 지성 혹은 정신의 세계와 무의식적으로 접촉하고 있다고 생각했던 반면, 후기 신플라톤주의자들은 영혼이 육체와 별개이기 때문에 물질적, 감각적 의례를 거쳐야만 신에게로 올라갈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요컨대, 이러한 전개 방식은 그리스도교의 그것과 흡사하다. 그리스도교에서 이미 원죄에 물든 인간이 하느님과 접촉하려면 강생한 로고스(예수 그리스도)와 성사라는 감각적 징표의 중재를 거쳐야만 한다. 신플라톤주의와 그리스도교, 이 두 가지 흐름은(...) 인간이 자기 힘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으며(...) 신이 창시한 무엇이 필요하다고 보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피에르 아도,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8장 [제국 시대의 철학 학파]의 세 번째 절 [플로티노스 이후의 신플라톤주의와 신비 전례학]에서 #발췌

#피에르_아도 #고대_철학이란_무엇인가 #철학

독륜(dúlún)dulunsche@mustard.blog
2023-09-03

[스토아주의자 에픽테토스는 제자들이 단지 으스대려는 목적에서만 텍스트의 해설을 이용한다고 힐책하며 이렇게 말했다. "나는 크리시포스에 주석을 달아 달라고 부탁을 받을 때에 나 자신을 뽐내지 않는다. 오히려 내가 그의 가르침과 비슷하고 그에 합당한 행동을 보여 주지 못했다면 얼굴을 붉히며 부끄러워 한다."(Epictète, Entretiens, III, 21~23; manuel, §49.)]

피에르 아도, 《고대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8장 [제국 시대의 철학 학파]의 첫 번째 절 [일반 특징]에서 #발췌

#피에르_아도 #고대_철학이란_무엇인가 #철학

2023-08-08

"무슨 게임 좋아해?"는 너무 철학적인 질문이다.

#게임 #철학

찬비chanby
2023-06-25

이전에 철학의 목적을 십여개의 전혀 호환되지 않는 방식으로 설명한 글을 본 적이 있는데 그게 철학의 실제 모습과 더 유사할 것 같다.

찬비chanby
2023-06-25

인간과 동물은 엄청난 차이가 있고, 인간이 더 우수하다는 것은 낭만주의고, 인간과 동물의 차이가 없고, 모든 종이 동등한 수준에 있다는 것을 흥 깨기로 번역한 느낌이 아주 좋다. feat. 박테리아에서바흐까지

Client Info

Server: https://mastodon.social
Version: 2025.04
Repository: https://github.com/cyevgeniy/lmst